김면장군유적
개요
김면장군유적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순국한 송암 김면(1541~1593) 장군의 묘소, 신도비, 도암사, 도암재, 도암서당을 일괄하여 지정한 사적지이다. 김면장군은 조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령, 거창 등지에서 의병을 규합, 수십 여 차례에 걸친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의병장으로 추대되었다. 1593년 경상우도병마절도사가 되었으나, 선산대전을 앞두고 충청?전라도 의병과 함께 금산, 개령에 주둔하고 있을 당시에 병을 얻었다. 장군은 ‘오로지 나라만이 있는 줄 알았고, 내 몸이 있는 줄은 몰랐다’라는 충절의 말을 남기고 순국하였다. 저서로는 「송암실기」 3권이 있다. 현종 7년(1667) 유학자들이 고령읍에 추모사당을 건립하였다. 정조 13년(1789) 사당을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신도비를 건립하여 그의 높은 충절을 후세에 길이 전하도록 하고 있다.
설명
김면장군유적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이었던 김면 장군을 기리는 곳으로, 그의 묘소와 신도비, 도암사 등의 건축물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곳에는 김면 장군이 생전에 쓴 '송암실기' 3권도 보관되어 있으며, 유학자들은 그를 추모하기 위해 고령읍에 사당을 세웠습니다. - 태그: 자연, 역사, 유적지, 사찰
태그
블로그 후기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댓글 목록을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