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 봉평리 신라비

주소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지역
경상북도
분류
관광지

개요

울진 봉평리 신라비는 삼국시대 신라의 비석으로, 1988년 봉평리 논 객토작업으로 2~3개월 방치되어 있던 것을 마을 주민이 발견하고 신고하였다. 오랜 세월 땅속에 묻혀 있었던 까닭에 상태가 좋은 편은 아니나 원래의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 비의 크기는 길이가 204cm, 글자가 새겨진 부분의 위폭 32cm, 아래폭 54.5cm이다. 규모는 작지만 형태는 고구려 장수왕 2년(414)에 세운 광개토왕비와 유사한 고구려계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비는 자연돌을 다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사다리꼴에 가깝다. 신라가 동북방면으로 진출하면서 건립한 비로, 법흥왕 11년(524)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신라 사회 전반에 걸치는 여러 면들을 새롭게 검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이다. 또한 법흥왕 때의 율령반포와 육부제의 실시, 왕권의 실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비문은 한쪽 면에만 새겨져 있는데, 글자수는 400자 정도이다. 글씨는 중국 남북조시대에 북조의 영향을 받은 해서체이나, 예서체의 모습도 보인다. 내용은 전형적인 한문이 아니라 신라식의 독특한 한문체를 사용하여 파악이 어렵지만 전체적인 윤곽은 짐작할 만하다. 기본 줄거리는 울진 지방이 신라의 영토로 들어감에 따라 주민들의 항쟁이 일어나자, 신라에서는 육부 회의를 열고 대인을 보내어 벌을 주고, 다시 대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를 세웠다는 내용이다. 이 비를 통하여 신라 육부제 실시와 법흥왕의 율령반포에 대한 「삼국사기」의 기록입증 등 사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

설명

울진 봉평리 신라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삼국시대 신라의 비석으로, 1988년에 마을 주민이 발견하여 신고하였습니다. 2. 비의 크기는 길이 204cm, 너비 약 32-54.5cm이며, 고구려계 특징인 사다리꼴 모양입니다. 3. 법흥왕 11년(524)에 세워졌으며, 신라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4. 한쪽 면에는 400여자 글씨가 새겨져 있으며, 신라식 한문체로 작성되었습니다. 5. 울진 지방 점령 후 주민 반발을 잠재우기 위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6. 육부제 실시와 법흥왕의 율령 반포 관련 사료로서 가치가 큽니다. 이는 역사 및 문화적으로 중요한 유물이자 관광 명소입니다.

태그

  • #자연
  • #역사
  • #감성스팟

블로그 후기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댓글 목록을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