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곡서당

주소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가창동로 219-5(가창면)
지역
대구광역시
분류
관광지

개요

박곡서당은 조선 태종 때 경상도, 경기도, 풍해도[황해도] 관찰사와 예조판서를 역임한 전백영의 추모 재실이자 서당이다. 박곡서당은 상원리 박실에 있다. 본래 이 재실은 내상원[안상원] 선생 묘소 곁에 있었다. 이후 1871년 서원철폐령으로 인근 행정리 한천서원이 헐릴 때, 그 재목을 가져다 1872년경 안박실에 있는 정부인 인천이씨 묘소 옆에 재실을 다시 세웠다. 하지만 재실에 화재가 일어나자, 선생 묘소와 정부인 묘소 사이, 후손들이 많이 세거하는 지금의 자리로 옮겨 박곡서당이라 이름했다. 서당이라 이름 붙인 것은 묘소와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어 재가 아닌 서당으로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후 1964년 중건하고, 1984년 7월 담장 바깥에 문평공 신도비를 세웠다. 현 박곡서당 강당 숭정당은 정면 5칸, 측면 1.5칸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정면에서 바라보면 좌측에서부터 2칸 방, 2칸 대청, 1칸 방이다. 대문은 앙지문으로 3칸 솟을대문인데 가운데 한 칸만 문이고 좌우 각 한 칸은 행랑이다. 박곡서당 동쪽으로 담 하나를 사이에 두고 문평공 종택인 옥산고택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설명

**박곡서당**: 조선시대 전백영 추모재실로 사용되었던 곳으로 현재는 감성적인 전통 스팟입니다. * 위치: 상원리 박실 (본래 내상원선생 묘소 옆) * 건축 특징: 정면 5칸, 측면 1.5칸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 있으며, 숭정당과 앙지문이 있습니다. * 주변환경: 자연 친화적이며 전통적인 감성을 느낄 수 있는 공간입니다. * 역사: 1964년에 중건되었으며, 1984년에는 담장 바깥에 문평공신도비가 세워졌습니다. * 관련 시설: 동쪽에는 옥산 고택(문평공 종택)이 인접해 있습니다.

태그

  • #자연
  • #감성스팟
  • #전통감성

블로그 후기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댓글 목록을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