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골굴암 마애여래좌상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기림로 101-5
지역
경상북도
분류
관광지

개요

골굴암의 높은 암벽에 있는 자연굴을 이용하여 만든 12개의 석굴 중 가장 윗부분에 있는 마애여래좌상이다. 조선시대 겸재 정선이 그린 ‘골굴석굴’에는 목조전실이 묘사되었으나 지금은 바위에 흔적만 남아있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높이 솟아있고, 윤곽이 뚜렷한 얼굴은 가늘어진 눈, 작은 입, 좁고 긴 코 등의 표현에서 이전보다 형식화가 진전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입체감이 두드러진 얼굴에 비해 평면적인 신체는 어깨가 거의 수평을 이루면서 넓게 표현되었는데, 목과 가슴 윗부분은 손상되었다. 옷주름은 규칙적인 평행선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겨드랑이 사이에는 팔과 몸의 굴곡을 표시한 V자형 무늬가 있다. 암벽에 그대로 새긴 광배는 연꽃무늬가 새겨진 머리광배와 불상 둘레의 율동적인 불꽃무늬를 통해 흔적을 살필 수 있다. 평면적인 신체와 얇게 빚은 듯한 계단식의 옷주름, 겨드랑이 사이의 U자형 옷주름 등이 867년에 조성된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와 유사한 작품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설명

골굴암 마애여래좌상은 골굴암의 높은 암벽에 위치한 석굴 중 하나로, 통일신라 후기인 867년 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 특징: 민머리와 육계가 돋보이며, 얼굴은 가늘고 작습니다. 신체의 입체감은 부족하지만 옷주름은 세밀하고 규칙적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또한, 암벽에 새긴 광배는 연꽃무늬와 불꽃무늬로 장식되어 있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 역사적 가치: 조선시대 겸재 정선의 '골굴석굴' 그림에도 등장하며, 당시에는 목조 전실도 함께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바위 위에 흔적만이 남아있습니다. - 분위기: 자연과 어우러져 감성적이고 평화로운 힐링을 느낄 수 있는 산책 스팟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이들이 찾는 명소이며, 자연 속에서 여유롭게 산책을 즐기며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추천합니다.

태그

  • #자연
  • #감성스팟
  • #산책힐링

블로그 후기

    댓글 작성

    댓글을 작성하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댓글 목록을 불러오는 중...